본문 바로가기

서울보증보험 주가 배당 실적 25.4

policywise5 2025. 4. 28.
ca-pub-3340034534081138

 

 

서울보증보험 주가, 배당, 실적 심층 분석 (2025년 4월 기준)

서울보증보험(종목코드: 031210)은 국내 보증보험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금융기관입니다. 오랜 업력과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주가 흐름과 실적 변화를 보면 마냥 긍정적인 시그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과연 서울보증보험의 현재 가치는 어느 정도이며, 향후 전망은 어떨까요
본 포스팅에서는 서울보증보험의 주가 동향, 배당 매력도, 그리고 최근 실적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 판단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서울보증보험  기업 개요 및 현황

기업 소개

서울보증보험은 신원보증, 이행보증, 인허가보증 등 다양한 보증 상품을 제공하며

개인과 기업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보증기관으로서, 탄탄한 리스크 관리 능력과 광범위한 영업 네트워크를 자랑합니다.

코스피 시장의 보험 업종에 속해 있으며, 12월 결산 법인입니다.

주요 주주 및 지배구조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최대주주가 예금보험공사라는 사실입니다

예금보험공사는 보통주 기준 58,546,746주, 지분율로는 무려 83.8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영 안정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향후 지분 매각 가능성 등 잠재적인 오버행 이슈를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유동주식비율은 14.72%로 다소 낮은 편이며, 외국인지분율은 0.22% 수준입니다.

최근 주가 동향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서울보증보험의 전일 종가는 30,150원입니다.

이는 직전 거래일 대비 1,250원 하락(-3.98%)한 수치입니다.

최근 52주간 주가는 최고 40,500원에서 최저 26,550원 사이에서 움직였으며,

현재 주가는 이 범위의 중간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2조 1,051억원 규모이며, 거래량은 311,464주, 거래대금은 약 94억원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이 관찰되는 만큼,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핵심 재무 지표 분석

서울보증보험의 투자 매력도를 판단하기 위해 주요 재무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는 주로 2024년 결산 실적 및 2025년 4월 9일 주가 기준으로 산출되었습니다.

수익성 지표 (EPS, ROE)

2024년 결산 기준 주당순이익(EPS)는 3,052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3년 5,982원, 2022년 7,804원 대비 상당히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수익성 악화는 자기자본이익률(ROE)에서도 명확히 드러납니다.

2022년 10.57%였던 ROE는 2023년 8.34%를 거쳐 2024년에는 4.12%까지 하락했습니다.

수익성 지표의 뚜렷한 하락세는 투자 매력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 지표 (BPS, PBR)

2024년 말 기준 주당순자산가치(BPS)는 74,048원입니다.

이를 현재 주가(30,150원)와 비교한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41배에 불과합니다.

일반적으로 PBR 1배 미만은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요.

0.41배라는 수치는 상당한 저평가 상태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낮은 PBR이 반드시 저평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성장성 둔화나 수익성 악화가 반영된 결과일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가치 평가 지표 (PER)

주가수익비율(PER)은 9.88배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동일 업종 평균 PER인 5.09배와 비교하면 다소 높은 수준입니다.

낮은 PBR과는 상반된 결과인데요.

이는 시장이 서울보증보험의 자산가치보다는 현재의 수익성(EPS)에 더 무게를 두고 평가하고 있거나,

혹은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특정 프리미엄 요인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실적 추이 및 전망

기업 가치 평가의 핵심은 결국 실적입니다.

서울보증보험의 과거 실적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과거 실적 분석 (2022~2024)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을 보면, 2022년 24조 9,220억원, 2023년 26조 1,020억원, 2024년 27조 5,130억원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기준)은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 영업이익: 2022년 7,064억원 -> 2023년 5,241억원 -> 2024년 2,797억원

• 당기순이익: 2022년 5,449억원 -> 2023년 4,177억원 -> 2024년 2,131억원

매출은 증가했지만, 이익 규모는 오히려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비용 증가나 보증 손실률 상승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됩니다.

2024년 실적 상세

특히 2024년 실적은 전년 대비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무려 46.64%, 당기순이익은 48.98%나 급감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우려를 안겨줄 수 있는 부분입니다.

분기별로 보아도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1,105억원, 4분기 영업이익 662억원 등

하반기로 갈수록 이익 규모가 줄어드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정확한 원인 분석과 향후 턴어라운드 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향후 전망 및 컨센서스 부재

안타깝게도 최근 3개월 이내 증권사에서 발표한 서울보증보험에 대한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 컨센서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장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혹은 실적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이후의 실적 추정치(E) 역시 구체적인 수치가 제공되지 않아 향후 실적 개선 가능성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에 있어 더욱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배당 정책 및 매력도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서울보증보험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높은 배당 매력도입니다

최근 배당금 지급 현황 (DPS)

서울보증보험은 2024년 결산을 통해 주당 2,865원의 현금배당(DPS)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2023년 2,983원보다는 소폭 감소했지만, 2022년 4,048원에 비해서는 상당히 줄어든 금액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가 수준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력적인 배당금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높은 배당수익률 분석

전일 종가(30,150원)와 2024년 주당 배당금(2,865원)을 기준으로 계산한 현금배당수익률은 무려 9.50%에 달합니다

이는 코스피 시장 전체 평균 배당수익률을 훨씬 상회하는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중시하는 배당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 및 지속 가능성

하지만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점이 있습니다. 2024년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기준)은 2,131억원인데,

현금배당 총액은 이보다 많은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DPS 2,865원 * 발행주식수 69,821,598주 = 약 2,000억원 이상).

Financial Summary 상의 2024년 현금배당성향은 93.87%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벌어들인 이익의 대부분을 배당으로 지급했다는 의미인데요.

물론 주주환원 정책 강화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익 규모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높은 배당성향이 지속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향후 이익 개선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배당금이 삭감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 고려사항 및 결론

서울보증보험(031210)은 현재 양날의 검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긍정적 요인

  • 매우 높은 현금배당수익률 (9.50%)
  • 낮은 PBR (0.41배)로 인한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매력
  • 국내 보증보험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 및 사업 안정성

부정적 요인

  • 최근 2년간 지속된 이익 감소 추세 (특히 2024년 급감)
  • 업종 평균 대비 높은 PER
  • 매우 높은 배당성향(93.87%)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
  • 최근 증권사 컨센서스 부재로 인한 미래 예측의 불확실성
  • 예금보험공사의 높은 지분율에 따른 잠재적 오버행 리스크

 서울보증보험은 높은 배당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실적 부진과 높은 배당성향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를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를 고려한다면 향후 실적 턴어라운드 여부, 배당 정책의 변화 가능성,

그리고 최대주주 관련 이슈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 결정 전 반드시 심층적인 분석과 본인만의 투자 원칙 수립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드립니다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의견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반드시 본인의 판단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