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로보틱스 주가 전망 배당금 25.4
두산로보틱스 주가 실적 재무 현황 분석 (2025년 4월기준)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국내 협동로봇 시장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주목받는
두산로보틱스의 현재 주가 상황과 실적, 그리고 재무 건전성에 대해 면밀히 분석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두산로보틱스 주가 역시 상당한 등락을 보여왔는데요,
투자자 여러분의 현명한 판단을 돕기 위해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산로보틱스 주가 현황 분석
두산로보틱스의 주가는 최근 몇 달간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상황은 어떠할까요
최근 주가 추이 및 변동성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두산로보틱스의 종가는 40,300원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350원(-0.86%)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는 52주 최고가인 109,300원에 비하면 상당히 조정받은 가격대이며, 52주 최저가인 39,550원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지난 1개월 수익률은 -36.54%, 3개월 수익률은 -37.52%,
6개월 수익률은 -35.00%,
그리고 1년 수익률은 무려 -44.79%에 달하는 등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모두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하락 추세는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요 주식 지표
시가총액은 약 2조 6,122억 원 수준이며, 발행주식수는 64,819,980주입니다.
이 중 유동주식비율은 30.15%로, 대주주 지분 등을 제외한 실제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물량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외국인지분율은 2.69% 수준이며, 52주 베타값은 1.49로 시장 평균(KOSPI) 대비 높은 변동성을 가진 종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현상을 해석해보면 시장 상승 시 더 크게 오를 수도 있지만, 하락 시에는 더 큰 폭으로 내릴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거래량은 2025년 4월 9일 기준 235,411주, 거래대금은 약 9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가치 평가 지표 (Valuation)
가치 평가 지표를 살펴보면, 2024년 실적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564원으로 적자를 기록하여
주가수익비율(PER)은 산출되지 않습니다(N/A).
이를 해석하면 회사가 아직 순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주당순자산가치(BPS)는 6,210원으로, 이를 기준으로 한 주가순자산비율(PBR)은 6.49배에 달합니다.
일반적으로 PBR 1배 미만이면 저평가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두산로보틱스의 PBR 6.49배는 현재 주가가 순자산가치 대비 상당히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적자 상태임을 고려하면 더욱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부분도 위험하죠.
현금배당은 실시하지 않아 배당수익률은 0%입니다.이 부분 역시 투자자로서 매우 아쉬운 부분입니다.
실적 및 재무 상태 점검
주가 부진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적과 재무 상태를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장성은 인정받지만,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보입니다.
연간 실적 추이
두산로보틱스의 연간 실적을 보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24년에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연도 | 매출액 | 영업손실 | 당기순손실 |
---|---|---|---|
2022년 | 450억 원 | -132억 원 | -125억 원 |
2023년 | 530억 원 (+17.98%) | -192억 원 (-44.90%) | -159억 원 (-26.50%) |
2024년 | 468억 원 (-11.71%) | -412억 원 (-114.96%!) | -366억 원 (-130.33%!!) |
매출 성장이 2024년에 꺾인 점도 아쉽지만,
무엇보다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다는 점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부분입니다.
이는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분기별 실적 분석
2024년 분기별 실적을 보면 이러한 우려가 더욱 명확해집니다.
분기 | 영업손실 | 당기순손실 |
---|---|---|
1분기 | -69억 원 | -28억 원 |
2분기 | -79억 원 | -37억 원 |
3분기 | -96억 원 | -69억 원 |
4분기 | -169억 원 | -231억 원 (지배주주 기준) |
분기가 거듭될수록 손실 규모가 커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4분기에 적자폭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30.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하회하는
-168.6억 원(잠정치 기준, 발표 -95.9억)을 기록하며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을 보였습니다 (-219.60% Surprise).
당기순이익 역시 컨센서스(-34.0억 원)를 크게 밑도는 -231.3억 원(지배주주 기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재무 건전성 평가
손실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재무 건전성 지표는 아직 양호한 편입니다.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4.77%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본유보율은 1,140.64%로 자본 구조는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이는 상장 과정에서 확보된 자금 등의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4년 -438억 원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설비투자(CAPEX) 33억 원을 고려한 잉여현금흐름(FCF) 역시 -471억 원으로 현금 창출 능력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적자와 현금 유출은 장기적으로 재무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이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투자 고려사항 및 전망
두산로보틱스에 대한 투자를 고려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을 짚어보아야 합니다.
주요 주주 구성
두산그룹(두산 외 1인)이 68.15%의 지분을 보유하여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이 5.0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주요 기관 투자자의 관심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 부재
주목할 점은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최근 3개월 이내에 증권사에서 발표한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 컨센서스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현재 두산로보틱스의 주가 및 실적 방향성에 대해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거나,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투자 결정 시 참고해야 할 중요한 정보의 부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향후 전망 및 주의점
두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기업임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가시적인 수익성 개선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적자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위험 요인입니다.
높은 PBR 밸류에이션 역시 부담스러운 수준입니다.
향후 실적 턴어라운드 시그널이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로봇 시장의 성장 스토리는 매력적이지만, 실제 숫자로 증명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셔야 할 것입니다.
정리해보면 , 두산로보틱스는 성장 잠재력과 안정적인 대주주를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주가 하락 추세와 심화되는 적자 구조,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그리고 시장 컨센서스 부재 등 투자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할 요소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성장기대 가능성은 높고, 투자도 많이 받았으니 실적을 내지 못하는 기업의 향방은 위험합니다.
제 투자의견은 보류입니다.
적어도 향후 발표될 실적과 회사의 수익성 개선 전략을 면밀히 확인하며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 본 분석은 투자 참고 자료이며,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주가 전망 실적 분석 25.4 (1) | 2025.04.28 |
---|---|
서울보증보험 주가 배당 실적 25.4 (1) | 2025.04.28 |
SK바이오사이언스 주가 전망 배당금 분석 25.4 (0) | 2025.04.28 |
휠라홀딩스 주가 전망 배당 정보 분석 25.4 (2) | 2025.04.28 |
인스피언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 (2025년 3월) (0) | 2025.03.26 |
댓글